1980년 5월, 서울 택시운전사.
“광주? 돈 워리, 돈 워리! 아이 베스트 드라이버”
택시운전사 만섭(송강호)은 외국손님을 태우고 광주에 갔다 통금 전에 돌아오면
밀린 월세를 갚을 수 있는 거금 10만원을 준다는 말에
독일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를 태우고 영문도 모른 채 길을 나선다.
 
광주 그리고 사람들. “모르겄어라, 우덜도 우덜한테 와 그라는지…”
어떻게든 택시비를 받아야 하는 만섭의 기지로 검문을 뚫고 겨우 들어선 광주.
위험하니 서울로 돌아가자는 만섭의 만류에도
피터는 대학생 재식(류준열)과 황기사(유해진)의 도움 속에 촬영을 시작한다.
그러나 상황은 점점 심각해지고 만섭은 집에 혼자 있을 딸 걱정에 점점 초조해지는데…

 

긍정적 리뷰(Fresh)

장훈 감독은 역사적 사건인 1980년 광주 대학살을 재조명하며, 독일 기자(토마스 크레슈만)와 독일 기자가 뉴스를 세상에 알리도록 도운 택시기사(송강호)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비극적인 소재에 밝고 기분 좋은 감동을 선사한다. <의형제>(송강호 주연)와 <고지전>등 히트 메이커로 자리매김한 장훈 감독은 <택시운전사>로 역대 세 번째로 높은 국내 개봉 점수를 받으며 다시 기적을 만들어냈다. 영화는 과거 국민들의 시대정신을 활용하면서 대통령을 축출한 국민의 힘에 관해 전면적으로 보여줘 관객을 들뜨게 한다. 

<택시운전사>는 2007년 블록버스터 <화려한 휴가> 이후 처음으로 광주항쟁에 정면으로 맞서는 대작이다. 그 영화보다 서사시적 웅장함을 덜 과시하는 대신 실화를 바탕으로 하여 신뢰를 얻었다. 2003년 민주화된 한국으로 돌아온 독일 기자의 엔딩 장면은 확실히 역사적 위상을 더한다. 

엄유나와 조슬예의 대본은 봉기를 촉발한 정치적 배경을 극적으로 단순화시켰다. 그러나 이 점은 결국 외국 관객들이 임상수 감독의 <오래된 정원>이나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처럼 밀도 높고 좀 더 지식이 필요한 영화보다 이 플롯을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오프닝 타이틀은 1979년 독재자 박정희의 암살이(권력의 공백이 곧 군부에 의해 메워지긴 했을지라도) 젊은 세대들 가운데서 민주주의에 대한 희망을 어떻게 촉발시켰는지 설명해준다. 1980년 전두환이 쿠데타를 일으켜 계엄령을 선포했고, 광주에서는 대학에서 시위가 순식간에 쏟아져나와 도시를 집어삼켰다. 군부가 외신을 막으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한 방송채널의 특파원 Juergen Hinspeter는 남한에서 벌어지고 있는 소요사태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된다. 도쿄에서 서울로 비행기를 타고 가서 그는 서울에서 계엄령이 내려진 광주로 내려가기 위해 택시를 예약하려고 한다. 영화에서 한번도 실명이 거론되지 않은 주인공은 우연히 외국인이 현금으로 약 900달러를 지불하겠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금전적으로 어려운 싱글 파더인 송강호는 교묘하게 그 일을 다른 택시기사에게서 가로챈다.
 

그 도시가 군에 의해 완전히 봉쇄됐음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 그들은 봉기가 일어난 다음날인 5월 19일에 도착한다. (중략) 장훈 감독은 영화에서 영화적 장소인 전라도 시민들과 서울 시민들 사이의 편견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면서도 나중에 인도주의적 가치를 통해 서울과 전라도, 두 지역을 서로 연결했고, 두 지역이 편견과 차이를 초월했음을 보여준다.

낙하산 부대원들이 방송국 앞에서 군중을 소탕하려 했던 한 사건을 재현했던 장면을 제외하고, <택시운전사>는 <화려한 휴가>처럼 일종의 폭발적이고 무거운 효과와 세트 피스들로 꾸미지 않는다. 그 대신에 언론자유를 노골적으로 공격하고 진실을 왜곡한 정권의 잔혹한 탄압을 암묵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그 범죄의 국제적인 인식을 높였던 실존 인물 Hinspeter의 역할을 강조한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5월 20일 수백 대의 택시들이 행진하는 시민들을 지원하고 부상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행렬에 동원되었다. 그들은 "민주주의의 동인"으로 칭송받으며,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어떤 장면에서든 몇 대의 택시만이 배치됐기 때문에, 이 영화는 그들의 영웅성에 대한 적절한 감각을 만들어 내지 못 했다. 그러나, 그들간의 연대의 힘은 나중에 흥분을 자아내는 택시 추격씬에서 전달됐다. 

Juergen Hinspeter는 정의의 기사가 아닌, 기회주의적 특파원이었다.  Hinspeter의 역할을 담당한 배우는 처음에 냉철하게 연기하면서 운전사와 다른 한국인을 그의 기사(report)를 위한 도구로 취급했다. 인상적인 것은 극중 인물의 성격이 하룻밤 사이에 큰 변화가 없다. 오히려 캐릭터 마음 속에선 민주투사들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눈에 띄게 커지는데도 Hinspeter를 담당한 배우는 다소 굳은 여유를 유지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택시기사와 특파원의 이별은 이제 두 남자가 동등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진정으로 감동적이다.

클래식 정치 스릴러물의 뼈대에 buddy picture의 장르를 더했다. 휴먼 코미디를 통해 긴장을 덜어 가벼운 순간을 연출했고, 이러한 점들은 겉보기엔 이질적인 요소들 같지만 송강호와 그의 동료와 같이 다차원적인 캐릭터들이 조화롭게 만든다. 2016년 언론인 Hinspeter가 사망하기 몇 달 전, 그는 과거 서울 택시 기사와 마지막 연락을 했고, 이 영화의 마지막에 포함된 그의 비디오 메시지는 특히 가슴이 저릿한 엔딩이었다.

 

부정적 리뷰(Rotten)

<괴물>, <설국열차>로 미국 관객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송강호는 현대 지도층 남성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정서를 가지고 있다. 송강호는 1980년 학생시위가 격렬하게 진압되는 동안 광주에서 서울을 오갔던 독일 언론인 Juergen Hinspeter와 의문의 한국인 택시기사가 나오는 <택시운전사>에서 그의 다재다능함을 다시 한 번 입증한다. 송강호는 너무 매력적이어서 심지어 그의 캐릭터가 감동적이지 않은 대사를 하거나 캐릭터 자체가 예측이 가능하더라도,애정이 가게끔 만든다. 송강호의 연기는 <택시운전사>의 나머지 다른 부분도 그만큼 사려 깊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송강호는 돈에 쪼들리는 홀아비 역할의 택시기사를 맡았다. 택시기사 이야기는 영화에서 깨달은 바와 같이 상당히 진부하다. 그는 영화 내내 "피터"로 불리는 독일 특파원과 함께 군사 바리케이드를 지나 광주로 들어갔고 그는 더 나은 정치적 인식을 가진 남자가 된다. 불행한 점은 바로 가장 신경질적일 때 가장 인간적이게 되는 택시운전기사가 그가 이기적인 행동을 그만두고, 반석 위에 선 사나이처럼 믿지 못할 도덕적 자각을 하면서부터다. 그 캐릭터는 진부해서 완전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
시나리오 작가 엄유나와 장훈 감독은 택시기사가 정치적 인물상으로 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무것도 없었던 자가 영웅이 되는 성공신화마냥 택시기사 캐릭터에 대한 이런 근시안적인 시각은 당황스럽다. 왜냐하면 독일 특파원인 피터의 캐릭터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기 때문. 우리가 피터에 대해 아는 것은 그가 뉴스를 보도해야 한다는 것과 도쿄에서 서울로, 광주로 이동한 뒤 결국 뉴스를 보도했다는 것뿐이다.
독일 특파원 피터가 주인공에게 고귀한 포부를 일깨워주는 단지 그런 조연으로 묘사되는 것을 보는 것보다 더 실망스러운 일은 없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